여기는 스포츠가 공용어입니다.


❝스포츠에서 유일한 것이 승리라면 이기는 그 순간 다시 경합을 벌여야겠다는 욕구는 사라질 것이다. 그렇다면 마이클 조던과 로저 클레멘스가 나이 마흔에 계속 경쟁을 벌였던 사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소크라테스 야구장에 가다' 中에서

MLB

Fangraphs.com의 히팅존


예전에 최희섭 선수와 관련된 그래프를 하나 올린 적이 있었는데, Fangraphs.com이라는 사이트에서 가져온 자료였습니다. 선수들의 성적 추이를 그래프로 그려볼 수 없을까 고민하고 있던 차에, 마침 정말 방대한 자료를 이미 구축해 놓은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어서 감동의 눈물을 안겨준 사이트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야구판에 별로 새로운 소식도 없고 해서 세이버메트릭스 블로그를 배회하던 중 오랜만에 이 사이트에 들렀는데 - 요즘엔 THT에 Daily Graphing이라고 소개가 되기에 따로 찾을 일이 줄었습니다 - 아주 흥미로운 그래프가 올라왔습니다.



알 듯 모를 듯 생긴 이 그래프의 정체는 '05 시즌 MLB에서 타자들이 때려낸 투구의 위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가운데 위치한 직사각형이 스트라이크 존을 뜻합니다. 왼쪽은 좌타자, 우측은 우타자의 결과물이죠. 그리고 색깔이 뜻하는 건 해당 로케이션으로 들어온 타구를 때렸을 때 안타로 연결되는 비율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빨간색이 안타로 연결될 확률이 높은 부분이고, 보라색이 낮은 부분입니다. 당연히 한 가운데로 공이 몰리면 몰릴수록 안타로 연결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우타자의 경우 스트라이크존 바로 아래 네모칸에서 오른쪽에 안타로 연결된 비율이 있는 건 짐승이겠죠? -_-)

그럼 이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필자는 푸홀스와 코리 페터슨의 비교를 통해 활용법을 제시합니다. 먼저 푸홀스의 그래프를 보시면 ;



위에서는 20%가 빨간색이었고, 이번에는 50%가 빨간색입니다. (비율은 옆에 색깔별로 표시돼 있습니다.) 한마디로 스트라이크 존에 던지는 건 안타를 맞으려고 던지는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굳이 스트라이크를 잡아야 한다면 스트라이크 존의 우측 하단을 노리는 게 제일 현명한 선택인 것 같습니다.

이어서 코리 패터슨의 경우 ;



저자의 표현을 그대로 인용하자면, 스윙에 구멍이 굉장히 많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푸홀스와 비교해 보시면, 존 자체가 굉장히 퍼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확실히 푸홀스의 스트라이크 존이 뭔가 집중된 형태로 보입니다. 그러나 푸홀스는 우타자과 패터슨은 좌타자입니다. 그래서 이런 차이를 각각 리그의 좌/우 타자가 기록한 평균 성적과 비교해 보면 ;



푸홀스는 스트라이크 존의 어느 영역이든 평균 혹은 그 이상입니다. 개인적으로 몸쪽에 꽉차게 들어오는 투구와 존의 바깥쪽 낮은 로케이션에도 강하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이제 패터슨을 보시면 ;



특정한 코스를 제외하고는 평균보다 떨어집니다. 그리고 특정한 로케이션 역시 일부 영역에 국한돼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스트라이크 존을 커버하는 능력이 떨어졌다고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오프라인에서 곧잘 드리는 말씀이, 저는 지금 우리가 숫자로 볼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숫자로 보고 싶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타자/투수의 문제가 정말 무엇인지 보여줄 수 있는 숫자. Bunt&HR 님께서 비슷한 작업을 하고 있는 연구소(?) 이야기를 올려주신 적이 있었는데, 사실 그게 제가 진짜로 공부해보고 싶은 숫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엇이 문제인지는 숫자가 보여주고, 그걸 어떻게 고쳐야 할지는 코칭스탭에서 가르치고. 그냥 그랬으면 좋겠다는, 순진한 발상입니다.

우리도 아마 구단에서는 이런 데이터, 모으고 있겠죠?


댓글,

더 보기